Computing/Database

MySQL 설치

i독 2021. 11. 23. 15:38

 

[ 1 ] 다운로드

페이지 하단에 위치해 있습니다 .

https://www.mysql.com/downloads/ 접속 후 MySQL Community Downloads 클릭.

 

Windows 사용자는 installer를 제공해주니 해당 파일로 다운로드 받습니다.

 

[ 2 ] Setup option.

 

보통은 Default 설치합니다만, 같은 경우에는 SQL 연습용으로 설치하는 것이라 Custom 선택하여 Server 만을 설치합니다.

추가로 Workbench 또한 좋은 IDE 이나, 저는 이전부터 사용해왔던 Heidi SQL 사용합니다.

 

- 중요 설치 항목

MySQL Server - DB 사용하게 있는 핵심 프로그램입니다. Data, Schema, 그리고 Auth 등을 관리합니다.

MySQL Shell - 이름 그대로 Kernel 연결해주는 Interface입니다. 별도의 DB Tool 사용할 예정이라면 역시 Skip하셔도 무방합니다.

다만 MySQL 사용자에게 MySQL Shell 매우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니, 전문적인 DB 사용자를 희망한다면 익혀두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저는 전문적인 DB 사용자가 아니므로 링크만 추가하고 넘기겠습니다.

https://dev.mysql.com/doc/mysql-shell/8.0/en/

 

[ 3 ] setting

 

 

Development Type으로 설정한다면, 기본적으로 외부의 접속은 허락되지 않게끔 Configuration 되어 있습니다.

저는 SQL 연습으로 사용할 목적이니 해당 Type 그대로 사용하겠습니다.

 

아래의 TCP/IP Port 넘버는 MySQL Server 지속적으로 사용할 번호를 지정합니다.

외부에서 MySQL Server Program 접속하기 위한 번호이며, 보통 3306 DB Port 번호로 널리 사용되는 값입니다.

다만 저의 PC에는 이미 다른 프로그램이 3306 사용하고 있으므로 별개의 값을 사용하겠습니다.

X Protocol 짧게 설명드리기에 배움이 부족하여, 아래의 링크를 남기며 통상적으로 기본 Port Number 곱하기 10 값을 가집니다. DB를 처음 사용하신다면 아래의 내용은 중요하지 않습니다.

https://www.percona.com/blog/2019/01/07/understanding-mysql-x-all-flavors/

 

 

[  ] 간단한 Port 설명 

Port는 프로그램에서 데이터를 받을 수 있는 통로라 볼 수 있고, 프로그램은 하나의 Port를 가지고 다른 네트워크와 연결될 수 있습니다.

우리가 사용하는 Web browser로 Google에 접속 할 때, 웹 브라우저는 운영체제가 할당하는 임의의 Port를 지닌 채 약속된 Port 번호로 Google에게 페이지의 정보를 달라 요청합니다. 대표적인 웹 통신 Port 번호는 Http : 80, Https : 443 이 있습니다.

ex) Client Application - Web Browser[ex. Chrome] (44343-Flexible to change)  <----->  Server Application - Http Service program[ex. Apache] (80-Fixed)

이러한 TCP 연결 구조로 데이터를 받아와 Web Page를 화면에 출력합니다.

 

[ 5 ] 암호화

 

내용 그대로, 암호화에 따른 접속문제 때문에 하위 버전의 시스템을 위해서 구분해 놓은 보입니다. 추천 항목을 선택하고 넘어가겠습니다.

 

[ 6 ] 계정 설정

외부의 접속이 허용되지 않는 Database라면 암호를 간단히 해도 무방합니다.

 

Windows Service 상에 어떤 이름으로 프로그램을 나타낼지 물어보는 항목입니다.

MySQL Sever Program은 Windows Service상에 올라가 백그라운드 모드에서 계속 실행됩니다.

 

사실상 개발용으로 잠깐잠깐 사용하실거라면, 계속 켜놓을 필요는 없으니 아래의 Start the MySQL Server at System startup을 꺼주시는걸 추천드립니다.

 

[  ] 실행

먼저 Service가 실행 중임을 확인합니다.

작업관리자에서 Service tab에 들어가 셋팅된 이름(Default : MySQL80)을 찾습니다. 만약 서비스가 중지되어 있다면 오른쪽 버튼을 클릭해 시작하면 됩니다.

그 후 DB접속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접속하면 됩니다. 만약 서비스는 동작중이나 Server로 부터 접근이 되지 않는다면,

mysql를 검색하여 Command Line이란 프로그램을 실행시킵니다. 그 후 로그인후 창을 닫아주시면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 화면이 뜨면 닫아주시면 됩니다.

MySQL Server at System startup 옵션을 꺼놓았다면 재부팅하고 난 뒤에 Server 프로그램이 동작하지 않습니다.
사용이 필요할 때 마다 Client 프로그램으로 실행시켜주시면 됩니다.

 

[  ] DB 접속

Command Line Client를 사용하셔도 무방하나 CLI보다는 GUI를 더 선호하신다면 HeidiSQL을 설치하여 접속이 가능합니다.

https://www.heidisql.com/download.php

별도의 Setting 옵션은 없습니다.

프로그램을 실행 후 자신의 Database 정보를 입력하여 접속하실 수 있습니다.